IVY777
기뻐하다 & 기쁘다 두 단어 사용할 때 차이가 뭐예요? 한국어를 혼자 공부하고 있어요. 그런데 궁금한 건 생겼어요 ㅠㅠ. 읽는 책에서 "기뻐하다" 이 단어가 나와요. 이미 사전에서 검색해보니까 사전에서 중국어 설명이 있어서 어떤 의미인지 좀 알아요. 하지만 이전에는 책에서 "기쁘다"이런 형식 단어를 배워 본 적이 있었어요. 그냥 의미만 생각하면 같다고 생각해요. 사용할 때 뭐가 달라요 ? ㅎㅎ 예를 들면 오늘 수업이 끝난 후에 제 친한 친구 나나에게 선물을 줄 거예요. 나나는 이 선물을 받고 기뻐하면 좋겠어요. 아니면 나나는 이 선물을 받고 기쁘면 좋겠어요. 위에 제가 만든 문장인데 두 가지 다 맞은 표현이죠? 둘 다 맞으면 한국사람들이 들을 때 느낌하고 의미가 다른 점이 있으세요? 혹시 시간이 있는 분이 계시면 좀 가르쳐주시겠어요? 감사합니다 ^^
2017년 3월 29일 오전 7:54
답변 · 2
감정이나 심리를 나타내는 형용사(좋다, 싫다, 부끄럽다, 슬프다)에 '-아/어하다'를 붙이면 동사가 됩니다. '기쁘다'와 같은 심리 형용사는 정서 상태를 '기뻐하다'와 같은 심리 동사는 정서 작용을 표현합니다. 정서 상태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기 자신의 심리상태를 표현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심리 형용사는 주어가 자기 자신(화자)일 경우 사용하고 심리 동사는 주어가 화자가 아닐 경우 사용합니다. 나는 기쁘다.(O) 나는 기뻐한다.(?) 그는 기쁘다.(?) 그는 기뻐한다.(O) 다만, 심리 동사가 목적어와 같이 사용되면 주어가 자기 자신(화자)일 경우에도 쓸 수 있습니다. 나는 좋아해(?) 나는 과자를 좋아해(O) 오늘 수업이 끝난 후에 제 친한 친구 나나에게 선물을 줄 거예요. 나나는 이 선물을 받고 기뻐하면 좋겠어요.(O) - 자연스러운 표현 나나는 이 선물을 받고 기쁘면 좋겠어요.(?) - 어색한 표현
2017년 3월 29일
주어진 문장에서는 '기뻐하다' 쪽이 더 어울립니다. 영어에서는 'Amy is happy'가 "에이미가 기뻐하다"가 될 수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기쁘다'와 '기뻐하다'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기뻐하다'는 해당 문장의 Subject가 feels happy라는 것이고, '기쁘다'는 그 Subject를 지켜보는 나 자신 또는 타인이 '기뻐할' 때에도 쓸 수 있습니다. 문장을 좀 더 자연스럽게 교정하면, "오늘 수업이 끝난 후에 제 친한 친구 나나에게 선물을 줄 거예요. 나나가 이 선물을 받고 기뻐하면 좋겠어요." 한편 '기쁘다'와 '기뻐하다'를 모두 써서 이런 문장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나나가 저 선물을 받고 기뻐하는 걸 보니 내가 다 기쁘다."
2017년 3월 29일
아직도 답을 찾지 못하셨나요?
질문을 남겨보세요. 원어민이 도움을 줄 수 있을 거예요!